24절기 여섯 번째인 곡우(穀雨),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여섯 번째인 곡우(穀雨),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오늘의 포스팅 주제입니다.
청명 다음 절기에 찾아오며 봄의 6절기 중 마지막인 곡우는 곡식 작물에 필요한 비가 내려 백곡이 윤택해진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계절적으로도 청명(淸明)과 입하(立夏) 사이에 위치한 24절기 중 여섯 번째 절기인 곡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곡우란 무엇인가? 올해 곡우 날짜는?
곡우는 24절기 중 여섯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로 해마다 양력 4월 20, 21일 사이에 찾아오는데, 이때로부터 입하 전까지의 15일간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올해 2022년 곡우 날짜는 양력 4월 20일이 되겠습니다.
과거에는 곡우 무렵에 내리는 단비로 가뭄을 해갈하고 그 물로 못자리를 하였기에 곡우는 벼농사에 가장 중요한 절기 중의 하나로 인식되었습니다. 곡우 무렵의 비가 농사에는 필수 불가결한 요소였기에 예로부터 곡우에 비가 안 오면 논이 석자가 갈라진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농민들의 시름이 깊고 걱정과 근심이 컸습니다. 과거에는 큰 가뭄이 들 때마다 나라에서 기우제를 지냈는데 특히 기우제가 가장 절실한 때가 곡우 무렵에 봄가뭄이 심하게 들었을 때가 되었습니다.
곡물의 생장을 돕는 고마운 비를 한자어로 서우(瑞雨) 또는 자우(慈雨)라고 부르기 하였습니다. 상서로울 서, 그리고 자비로울 자를 사용할 만큼 곡우에 내리는 비야말로 정말 고마운 비라 할 수 있습니다.
곡우의 세시풍속
1) 볍씨 담그기
곡우에 하는 일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벼농사의 첫 번째 작업으로 못자리에 낼 볍씨를 물에 담그는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나라에서는 농민들에게 곡우임을 알리고 볍씨를 내어주며 못자리를 권장하는가 하면 이 절기에는 죄인도 잡아가지 않을 정도로 소중한 절기로 지켰습니다. 볍씨를 담은 가마니는 부정을 타지 않도록 솔가지를 덮어두고, 부정한 일을 본 사람은 집에 함부로 들이지 않고 집 앞에서 악귀를 몰아낸 다음에야 들였으며 집에 들인 이후에라도 볍씨는 보지 못하게 할 정도로 볍씨를 소중하게 다루고 취급하였다고 합니다.
이는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나지 않아 벼농사를 망친다는 속설에 따른 것이었지만 그만큼 우리 조상들이 벼농사에 정성을 들이고 얼마만큼 벼농사를 중요시 여겼는지를 알게 하는 사실이라 하겠습니다.
2) 곡우물 마시기 (거자수물 마시기)
곡우 무렵은 나무가 새로운 잎들을 내고 키우기 위해서 뿌리로부터 수액을 많이 공급받게 됩니다. 그래서 곡우에는 나무에 한창 물이 오르는 시기입니다. 이 때문에 수액을 채취하는 것도 이 시기였고 가장 많은 수액이 생산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수액은 경칩 무렵부터 생산되는데, 곡우물은 경칩 때 나는 고로쇠 물보다 덜 달콤하고 텁텁한 맛이 나며 위장병, 신경통, 당뇨, 관절염 등에 좋으며, 고부간의 갈등으로 생긴 속병도 곡우물을 마시면 치료된다고 하였습니다. 곡우물은 전라북도에서는 거자수물이라고도 하였습니다.
곡우와 관련된 속담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조기는 산란 때 우는 습성이 있는데 산란 직전의 곡우 무렵에 조기를 잡아야 일이 꽉 찬 조기를 잡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곡우에 비오면 풍년 든다."
곡우는 4월 20일경으로 못자리 설치 적기일 뿐만 아니라 모든 농작물의 파종시기로 상당한 비가 와야 적기에 파종을 할 수 있고 생육이 순조로워 그 해 풍년이 올 것이라는 데서 유래된 말입니다.
"곡우에 비가 안 오면 논이 석자가 갈라진다."
곡우인 4월 20일경이면 농가에서 씨앗을 파종하게 되는데 이때 비가 안 와 논이 갈라질 정도로 가뭄을 타면 파종한 씨앗이 싹이 트지 않게 되어 농사에 나쁜 영향을 준다는 뜻입니다.
"곡우에 모든 곡물들이 잠을 깬다."
곡우 무렵부터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24절기에 관한 다른 포스팅 글들도 참고해 주세요.↓↓
24절기 다섯번째인 청명(淸明),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한식(寒食)의 유래]
24절기 다섯번째인 청명(淸明),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한식(寒食)의 유래]
24절기 다섯 번째인 청명(淸明),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한식(寒食)의 유래] "24절기 다섯번째인 청명(淸明),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오늘의 포스팅 주제입니다. 춘분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네번째인 춘분(春分),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네번째인 춘분(春分),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네 번째인 춘분(春分),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네 번째인 춘분(春分),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오늘의 포스팅 주제입니다. 확실히 춘분을 앞두고 꽃샘추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세번째인 경칩(驚蟄),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세번째인 경칩(驚蟄),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세 번째인 경칩(驚蟄),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세 번째인 경칩(驚蟄),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오늘의 포스팅 주제입니다. 확실히 3월이 시작되자마자 공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두번째인 우수(雨水), 날짜와 세시풍속, 음식과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두번째인 우수(雨水), 날짜와 세시풍속, 음식과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두 번째인 우수(雨水), 날짜와 세시풍속, 음식과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두 번째인 우수(雨水), 날짜와 세시풍속, 음식과 속담을 알아보자." 오늘의 포스팅 주제입니다. 며칠 있으면 24절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중 첫번째인 입춘(立春), 입춘날짜와 세시풍속 및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중 첫번째인 입춘(立春), 입춘날짜와 세시풍속 및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중 첫 번째인 입춘(立春), 입춘 날짜와 세시풍속 및 속담을 알아보자 예로부터 우리민족 고유의 명절인 설날 연휴를 보내고 나면 곧바로 맞이하는 절기가 있습니다. 바로 봄의 시작을 알
2trillionlee.tistory.com
오늘은 "24절기 여섯번째인 곡우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조금이나마 유익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저는 다음 시간에 더욱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슈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평 가볼만한 곳 [음악역 1939, 음악놀이터] (3) | 2022.04.22 |
---|---|
itx청춘 환승방법 승차권 구입 (5) | 2022.04.21 |
검수완박 뜻, 검수완박 줄임말 (3) | 2022.04.16 |
인천 800번 버스 운행시간표, 노선 및 요금 (6) | 2022.04.13 |
헌옷수거업체 추천 - 헌옷청년 (이삿짐 정리) (3) | 2022.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