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스물한 번째인 대설(大雪),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아쉽게도 하루가 지났는데요. 어제는 올해의 24절기 중 스물한 번째에 해당되는 겨울의 세 번째 절기 대설이었습니다. 저만 모르고 있었나요? 24절기 대설은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전 절기인 소설은 첫눈이 내린다는 절기이며 이번 대설은 함박눈이 펑펑 내린다는 날인데요. 안타깝게도 대설 전날 새벽에 함박눈이 수도권과 서해안을 중심으로 내렸어요.
대설이란 무엇인가? 올해 대설 날짜는?
일 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절기 대설은 시기적으로는 음력 11월 즈음, 양력으로는 매년 12월 7일이나 8일 무렵에 해당되는 절기입니다.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황경(黃經)이 255도에 도달한 날입니다. 절기상으로는 소설(小雪)과 동지(冬至) 사이에 위치합니다.
우리 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음력 10월의 입동과 소설, 음력 11월의 대설과 동지, 그리고 12월의 소한과 대한까지의 시기를 겨울이라고 여긴답니다.
고대 중국에서는 대설로부터 동지까지의 15일을 5일씩 묶어서 삼후(三候)로 구분했다고 합니다. 초후(初候)에는 산 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범이 교미하여 새끼를 치며, 말후(末候)에는 여지(荔枝 여주: 박과에 속하는 식물)가 돋아난다고 하였습니다.
올해 2022년 대설은 하루가 지났는데요. 바로 12월 7일이었습니다...
대설의 세시풍속
1) 풍흉 점치기
대설이 시작되는 첫날 눈이 많이 오면 다음 해에 풍년이 들고 따뜻한 겨울을 날 수 있다는 믿음이 전해져 내려옵니다. 하지만 올해 대설도 마찬가지였지만 눈이 많이 온다는 대설에 눈이 많이 오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고 하네요.
2) 콩으로 메주쑤기
대설이 되면 농사일을 모두 끝내 농촌에서는 휴식을 취하며 마음도 여유로운 나날을 즐겼습니다. 하지만 부지런한 농부들은 겨울철 먹거리 대비를 소홀히 하지 않았는데요. 이 시기에 집집마다 콩으로 메주를 쑤어 일 년 동안 먹을 장을 준비하였습니다. 대설에 메주를 쑤면 맛있게 익는다고 하여 정성을 다해 만들곤 하였다고 해요.
메주의 모양은 다들 아실 텐데요. 콩을 푹 삶아서 네모지게 만들어 볏짚으로 묶어 따뜻한 곳에 두면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많이 자란답니다. 이것을 가리켜 ‘메주가 뜬다’고 하였습니다. 잘 뜬 메주로는 된장, 고추장, 그리고 간장도 만들어낼 수 있어요...
대설과 관련된 속담
“눈은 보리의 이불이다.”
대설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눈이 많이 온다는 절기입니다. 실제로 눈이 많이 와서 보리를 덮어주면 이불처럼 감싸 주면서 보온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겨울 추위에서 오는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하여 이런 관련 속담이 전해지는 듯합니다.
어느새 카타르 월드컵이 조별리그를 끝내고 단판승부의 묘미가 있는 토너먼트로 진입했네요. 우리나라는 목표였던 16강의 기적을 써냈고, 태극전사들의 투혼에 거침없는 박수를 보냅니다. 4년의 결실을 맺은 카타르 월드컵, 선수들도 이제는 마음 편히 휴식하면서 또 그다음을 준비할 수 있겠네요.
올해 저를 비롯한 모든 분들은 연초에 계획들을 세우고 한 해를 시작하셨을 겁니다. 지금 그 소망과 목표가 이루어졌는지 궁금합니다. 이제 마지막 남은 달력 한 장, 12월이 가기 전 목표를 이루게 되시기를 빌어봅니다. 혹시나 올해를 넘기더라도 걱정하지 말자고요. 이번 태극전사들을 통해서 유명해졌고 아울러 올해 최고의 명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 아닐까 싶어요. ‘중꺾마’를 마음속에 포기하지 않고 담고 있는 한 우리의 소망과 목표는 반드시 이루어질 겁니다.
↓↓24절기에 관한 다른 포스팅 글들도 참고해 주세요.↓↓
24절기 스무 번째인 소설(小雪),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스무 번째인 소설(小雪),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스무 번째인 소설(小雪),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이미 하루가 지났는데요. 어제는 올해의 24절기 중 스무 번째에 해당하는 겨울의 두 번째 절기 소설(小雪)이었답니다. 다들 알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열아홉 번째인 입동(入冬),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아홉 번째인 입동(入冬),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아홉 번째인 입동(入冬),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며칠 후면 올해의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에 해당하는 겨울 첫 절기인 입동(入冬)을 맞이하게 됩니다. 입동은 양력으로는 11월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열일곱 번째인 한로(寒露),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일곱 번째인 한로(寒露),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일곱 번째인 한로(寒露),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오늘은 올해의 24절기 중 열일곱 번째에 해당하는 가을 절기 한로(寒露)를 맞이하게 됩니다. 한로는 양력 10월 8~9일 무렵에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열여섯 번째인 추분(秋分),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여섯 번째인 추분(秋分),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여섯 번째인 추분(秋分),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며칠 후면 올해의 24절기 중 열여섯 번째에 해당하는 절기 추분(秋分)을 맞이하게 되는데요. 추분과 가장 잘 어울리는 가을
2trillionlee.tistory.com
24절기 열다섯 번째인 백로(白露),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다섯 번째인 백로(白露),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24절기 열다섯 번째인 백로(白露),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 요즘 다른 포스팅에 집중하다 보니 그 중요한(?) 24절기를 놓치고 말았습니다. 하루가 지났지만 가을절기 중 백로에 관해서
2trillionlee.tistory.com
오늘은 "24절기 스물한 번째인 대설(大雪), 날짜와 세시풍속, 속담을 알아보자"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조금이나마 유익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저는 다음 시간에 더욱 유익한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이슈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해바다 낙조 명소 추천: 강화 장화리 일몰조망지 굿굿!! [해넘이 아름다운 곳] (2) | 2022.12.11 |
---|---|
귀멸의 칼날 최강검사인 기둥(柱)을 소개합니다. (2) | 2022.12.09 |
강화 가볼만한 곳: 동막해변 분오리돈대...[낙조 감상하기 좋은 곳!!!] (2) | 2022.12.07 |
강화 동막해수욕장& 해안탐방로 데크길 추천!! [석양 아름다운 해변] (2) | 2022.12.06 |
연수동 제이볼 볼링장 추천해요... 편의시설도 굿굿!! (1) | 2022.12.04 |